Who is he?
김지웅 치과의사는 서울대 약학 대학원 졸업 후 당뇨 치료 연구자로서 국제특허를 출원하기도 한 약학 분야의 차세대 유망주. 그는 삼성서울병원에서 당뇨 약물 개발 활동을 통해 임상 적용의 의미를 느껴 치과의사의 길을 선택한 드문 케이스이기도 합니다. 그가 치과뉴스닷컴을 통해 당뇨 전단계를 포함한 당뇨환자와 보호자, 당뇨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치과의료인 모두에게 도움될 만한 당뇨와 치과치료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당뇨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을 때 알아야 할 점, 당뇨 위험군에게 있어 왜 구강관리가 중요한지, 치과진료시 당뇨환자들의 특이적인 주의사항을 유익하게 임상적, 학술적으로 설명합니다.
소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뇨환자가 치과를 더 자주 와야하는 이유(1)- 당뇨란? 그리고 구강 건강과 당뇨의 상호 연관성
2. 당뇨환자가 치과를 더 자주 와야하는 이유(2)- 치주염, 치아우식을 포함한 구강상병들 전체 각론
3. 당뇨환자의 치과치료시 주의사항
4. 당뇨와 치과치료관련 최신 치의학 트렌드 연구소개 ; 치수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의 치료법 개발
마지막으로 당뇨와 관련된 치과계의 최신 연구성과의 문헌 조사와 그에 따른 미래의 치료 방향을 살펴봅니다.
앞의 1,2,3화를 통해 당뇨와 구강건강이 상호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음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그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전신질환과 구강상병을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아울러 치과치료를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도 알아봤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화에서는 당뇨에 치의학적인 견해를 토대로 진행되고 있는 흥미로운 최신 연구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당뇨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 개론
앞서 언급했듯이 당뇨는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혈액내의 포도당이 과도하게 존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크게 1형과 2형 두가지로 나눌 수 있고, 1형 당뇨의 경우 선천당뇨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베타세포가 선천적으로 결여되어 인슐린이 생기지 않는 상태이죠.
2형 당뇨의 경우 비만 흡연등 후천적 다양한 요인으로 인슐린과 세포의 인슐린 수용체간의 signaling이 손상되어 발병하는데, 증상이 심해지면 피드백 작용에 의해 결국 또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이 파괴됩니다.
따라서, 손상된 랑게르한스섬을 복구하거나, 재생하는 것이 당뇨의 궁극적인 치료 방법이라는 가설이 지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손상된 랑게르한스섬을 복구하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환자는 인슐린 주사나 혈당강하제 등을 투여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대증요법을 평생 동안 이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대증치료는, 환자가 투약 스켸줄을 철저하게 지키지 못하면, 심근경색, 시력손실, 뇌졸중, 말초순환장애등 다양한 당뇨합병증을 막을 수 없고, 또는 저혈당 쇼크 등 치명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대증요법이 아닌 랑게르한스섬을 복원하여 완치를 도모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즉, 당뇨의 완치를 위해서는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재생 및 기능 유지가 필수적입니다.
파괴된 랑게르한스섬을 복원하는 방법은 장기 이식 등이 현재까지는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이식은 공여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안정된 수율을 확보 할 수 없는 점과 더불어 면역거부반응에 대한 우려로 평생 면역억제제를 투여 받아야 하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면역억제제를 투여받더라도 장기 생착률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장기 이식 연구에서, 이식된 랑게르한스섬의 5년 생착률이 급격히 감소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장기이식에 대한 비용적 부담도 상당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최근의 재생의학적 트렌드에 맞추어,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랑게르한스섬을 복원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발전해 오고 있습니다. 구강악안면에도 다양한 줄기세포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을 이용하여 당뇨 치료제의 개발을 시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림1] 랑게르한스섬의 정상, 당뇨에서의 현미경 관찰 모습. Figure 1에서 아래 그림의 붉은색 점은 랑게르한스섬의 파괴정도를 보여줌. figure 2에서 아래 그림의 갈색 점은 랑게르한스섬의 파괴정도를 보여줌. figure 3에서 아래 그림의 붉은색 선명도가 옅은 부분은 랑게르한스섬의 파괴정도를 보임
구강악안면의 줄기세포
줄기세포는 미분화된 세포로써, 특정 자극하에 근육세포, 신경세포, 피부세포 등 다양한 구체적인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를 말합니다.
줄기세포의 종류에 따라 분화능이 나누어지는데, 분화능력이 뛰어난 순서대로 전분화능줄기세포(totipotent, pluripotent stem cell, 배아 줄기세포가 대표적), 다분화능줄기세포(multipotent stem cell, 골수유래줄기세포가 대표적), 단일줄기세포(unipotent stem cell, 성체줄기세포가 대표적) 등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체 줄기세포는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중간엽 조직에서 존재하여 중간엽 줄기세포 즉, MSC(mesenchymal stem cell)이라고 일컫고, 구강악안면 영역에도 그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MSC들이 치아의 다양한 장소에 존재합니다.
[그림2] 신체 다양한 조직의 줄기세포들
[그림3] 구강악안면의 줄기세포들
DPSC : 치수 줄기 세포 SHED : 박리된 유치의 줄기 세포 PDLSC : 치주 인대 줄기 세포 DFSC : 치아 난포 줄기 세포 TGPC : 치아 배아 전구 세포 SCAP : 정단 유두의 줄기 세포 OESC : 구강 상피 전구 줄기 세포 GMSC : 치은 유래 MSC /PSC : 골막 유래 줄기 세포 SGSC : 타액선 유래 줄기 세포
대표적으로 치조골에서 채취가능한 BMSC, 치주인대에서 채취가능한 PDLSC, 치수의 DPSC, 유치박리시 획득가능한 SHED, 치수의 apex에서 얻을수 있는 SCAP 등이 존재합니다.
구강내의 줄기세포는 발치를 통해 비 침습적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구강내의 줄기세포는 모두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파생된 줄기세포지만, 그 세부적인 특성이 100퍼센트 일치하지는 않고 약간의 차이가 존재함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약간의 차이는 분화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대부분의 구강내 줄기세포는 일반적인 성체 줄기세포가 그러하듯이 구강조직으로만 분화가 가능하게 프로그래밍되어 있습니다.
성체(성인)이 가질 수 있는 줄기세포 중, 골수유래 줄기세포(BMSC)의 경우 특이적으로 전분화능을 지녀 기존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이러한 골수유래 줄기세포는 치조골에서는 그 양이 극히 제한적이라 추출하지 않고, 주로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장골의 골수를 통해 채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큰 수술이 필요하게 되어 환자에게 부담이 됩니다.
[그림4] 장골 골수줄기세포 채취
- 전신 마취하에 수술을 진행하여야 함.
골수유래 줄기세포의 성능과 가장 흡사한 성체의 줄기세포가 구강내 줄기세포 중 치수유래줄기세포 (Dental pulp stem cell, DPSC)라는 것이 최근에 연구를 통해 밝혀졌고, 치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공학으로 당뇨 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 치료제 개발 (BMSC, DPSC)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골수유래 줄기세포에 PDX-1, NGN-3, neuro-3 과 같은 유전물질을 처치하면 골수유래 줄기세포가 랑게르한스섬으로 분화함이 밝혀졌고, 이렇게 분화가 완료된 랑게르한스섬은 기존의 랑게르한스섬과 기능적, 형태적으로 동일함을 실험실내에서 여러 분석기법으로 검증했습니다.
추가로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당뇨가 유발된 쥐 모델에 투여하고, 위의 랑게르한스섬 유도 유전물질을 투여한 결과, 투여된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이 조절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그림5]
[그림5] A: 당뇨 유도된 쥐의 혈중 인슐린 분비량 / B: 당뇨 유도된 쥐에 골수유래줄기세포 + 랑게르한스섬 유도 물질 투여후 혈중 인슐린 분비량
현재,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 치료제 개발 연구는 전세계에서 다양한 연구팀이 진행하고 있으며, 주로 투여 경로, 투여 횟수, 용량 등을 달리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골수유래 줄기세포는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통해 장골의 골수를 채취해야 합니다. 이는 앞서 설명처럼 수술적 처치라 환자에게 시간, 비용과 후유증 등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하고, 따라서 반복적인 채취가 불가능해 채취량이 한정적이라는 단점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점은 치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극복이 가능합니다. 사랑니 발치나 교정발치 등을 통해 치수를 채취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시간, 비용, 술 후 부작용 등에 대한 부담감이 극히 경미합니다. 따라서, 이미 다양한 연구진들이 치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입니다.
요약해보기
당뇨는 현재 치료법이 발견되지 않은 불치병으로, 근원적인 해결책은 췌장 또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동종이식이나 돼지등을 이용한 이종이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면역 거부반응, 큰 수술을 해야 되는 시간 비용 등의 부담감 등의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줄기세포 분야의 발전을 토대로, 당뇨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에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방식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것은 성체에서 채취가 가능하며 전분화능을 가진 골수유래 줄기세포입니다. 하지만, 골수유래 줄기세포도 또한 전신마취를 통한 채취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합니다.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연구 결과 골수유래 줄기세포와 가장 비슷한 분화능과 그 외 성질을 지닌 성체 줄기세포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치아를 발치함으로써 획득 가능해 상대적으로 채취량, 비용 등 다양한 기존의 치료제들이 가지는 단점을 한 번에 해결 할 수 있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당뇨는 전 세계 인구의 10분에 1 정도가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만약 이러한 당뇨를 위한 치료에 치수유래 줄기세포가 이용될 수 있다면, 당뇨병의 분야까지 치과의사가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어 치과의료 분야에서도 환자와 치과의료 분야 모두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그 귀추가 매우 주목되고 있습니다.
REFERENCE
[그림1] The pathogenesis and pathophysiology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Ozougwu, J. C. 1* , Obimba, K. C.2 , Belonwu, C. D.3 , and Unakalamba, C. B.4
Xenotransplantation of layer-by-layer encapsulated non-human primate islets with a specified immunosuppressive drug protocol / Muhammad R. Haque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58 (2017) 10-21
Postnatal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DPSCs) in vitro and in vivo
S Gronthos, M Mankani, J Brahim… - Proceedings of the …, 2000 - National Acad Sciences
Identification of a Common Gene Expression Signature Associated with Immature Clonal Mesenchymal Cell Populations Derived from Bone Marrow and Dental Tissues
Stem cells as a potential therapy for diabetes mellitus: a call-to-action in Latin America
Mairim Alexandra Solis
[그림5] Mesenchymal Stem Cells Cooperate with Bone Marrow Cells in
Therapy of Diabetes
VERONIKA S. URBAN,
Who is he?
김지웅 치과의사는 서울대 약학 대학원 졸업 후 당뇨 치료 연구자로서 국제특허를 출원하기도 한 약학 분야의 차세대 유망주. 그는 삼성서울병원에서 당뇨 약물 개발 활동을 통해 임상 적용의 의미를 느껴 치과의사의 길을 선택한 드문 케이스이기도 합니다. 그가 치과뉴스닷컴을 통해 당뇨 전단계를 포함한 당뇨환자와 보호자, 당뇨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치과의료인 모두에게 도움될 만한 당뇨와 치과치료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당뇨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을 때 알아야 할 점, 당뇨 위험군에게 있어 왜 구강관리가 중요한지, 치과진료시 당뇨환자들의 특이적인 주의사항을 유익하게 임상적, 학술적으로 설명합니다.
소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뇨환자가 치과를 더 자주 와야하는 이유(1)- 당뇨란? 그리고 구강 건강과 당뇨의 상호 연관성
2. 당뇨환자가 치과를 더 자주 와야하는 이유(2)- 치주염, 치아우식을 포함한 구강상병들 전체 각론
3. 당뇨환자의 치과치료시 주의사항
4. 당뇨와 치과치료관련 최신 치의학 트렌드 연구소개 ; 치수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의 치료법 개발
마지막으로 당뇨와 관련된 치과계의 최신 연구성과의 문헌 조사와 그에 따른 미래의 치료 방향을 살펴봅니다.
앞의 1,2,3화를 통해 당뇨와 구강건강이 상호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음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그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전신질환과 구강상병을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아울러 치과치료를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도 알아봤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화에서는 당뇨에 치의학적인 견해를 토대로 진행되고 있는 흥미로운 최신 연구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당뇨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 개론
앞서 언급했듯이 당뇨는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혈액내의 포도당이 과도하게 존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크게 1형과 2형 두가지로 나눌 수 있고, 1형 당뇨의 경우 선천당뇨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베타세포가 선천적으로 결여되어 인슐린이 생기지 않는 상태이죠.
2형 당뇨의 경우 비만 흡연등 후천적 다양한 요인으로 인슐린과 세포의 인슐린 수용체간의 signaling이 손상되어 발병하는데, 증상이 심해지면 피드백 작용에 의해 결국 또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이 파괴됩니다.
따라서, 손상된 랑게르한스섬을 복구하거나, 재생하는 것이 당뇨의 궁극적인 치료 방법이라는 가설이 지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손상된 랑게르한스섬을 복구하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환자는 인슐린 주사나 혈당강하제 등을 투여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대증요법을 평생 동안 이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대증치료는, 환자가 투약 스켸줄을 철저하게 지키지 못하면, 심근경색, 시력손실, 뇌졸중, 말초순환장애등 다양한 당뇨합병증을 막을 수 없고, 또는 저혈당 쇼크 등 치명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대증요법이 아닌 랑게르한스섬을 복원하여 완치를 도모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즉, 당뇨의 완치를 위해서는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재생 및 기능 유지가 필수적입니다.
파괴된 랑게르한스섬을 복원하는 방법은 장기 이식 등이 현재까지는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이식은 공여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안정된 수율을 확보 할 수 없는 점과 더불어 면역거부반응에 대한 우려로 평생 면역억제제를 투여 받아야 하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면역억제제를 투여받더라도 장기 생착률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장기 이식 연구에서, 이식된 랑게르한스섬의 5년 생착률이 급격히 감소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장기이식에 대한 비용적 부담도 상당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최근의 재생의학적 트렌드에 맞추어,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랑게르한스섬을 복원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발전해 오고 있습니다. 구강악안면에도 다양한 줄기세포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을 이용하여 당뇨 치료제의 개발을 시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림1] 랑게르한스섬의 정상, 당뇨에서의 현미경 관찰 모습. Figure 1에서 아래 그림의 붉은색 점은 랑게르한스섬의 파괴정도를 보여줌. figure 2에서 아래 그림의 갈색 점은 랑게르한스섬의 파괴정도를 보여줌. figure 3에서 아래 그림의 붉은색 선명도가 옅은 부분은 랑게르한스섬의 파괴정도를 보임
구강악안면의 줄기세포
줄기세포는 미분화된 세포로써, 특정 자극하에 근육세포, 신경세포, 피부세포 등 다양한 구체적인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를 말합니다.
줄기세포의 종류에 따라 분화능이 나누어지는데, 분화능력이 뛰어난 순서대로 전분화능줄기세포(totipotent, pluripotent stem cell, 배아 줄기세포가 대표적), 다분화능줄기세포(multipotent stem cell, 골수유래줄기세포가 대표적), 단일줄기세포(unipotent stem cell, 성체줄기세포가 대표적) 등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체 줄기세포는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중간엽 조직에서 존재하여 중간엽 줄기세포 즉, MSC(mesenchymal stem cell)이라고 일컫고, 구강악안면 영역에도 그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MSC들이 치아의 다양한 장소에 존재합니다.
[그림2] 신체 다양한 조직의 줄기세포들
[그림3] 구강악안면의 줄기세포들
DPSC : 치수 줄기 세포 SHED : 박리된 유치의 줄기 세포 PDLSC : 치주 인대 줄기 세포 DFSC : 치아 난포 줄기 세포 TGPC : 치아 배아 전구 세포 SCAP : 정단 유두의 줄기 세포 OESC : 구강 상피 전구 줄기 세포 GMSC : 치은 유래 MSC /PSC : 골막 유래 줄기 세포 SGSC : 타액선 유래 줄기 세포
대표적으로 치조골에서 채취가능한 BMSC, 치주인대에서 채취가능한 PDLSC, 치수의 DPSC, 유치박리시 획득가능한 SHED, 치수의 apex에서 얻을수 있는 SCAP 등이 존재합니다.
구강내의 줄기세포는 발치를 통해 비 침습적으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구강내의 줄기세포는 모두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파생된 줄기세포지만, 그 세부적인 특성이 100퍼센트 일치하지는 않고 약간의 차이가 존재함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약간의 차이는 분화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대부분의 구강내 줄기세포는 일반적인 성체 줄기세포가 그러하듯이 구강조직으로만 분화가 가능하게 프로그래밍되어 있습니다.
성체(성인)이 가질 수 있는 줄기세포 중, 골수유래 줄기세포(BMSC)의 경우 특이적으로 전분화능을 지녀 기존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이러한 골수유래 줄기세포는 치조골에서는 그 양이 극히 제한적이라 추출하지 않고, 주로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장골의 골수를 통해 채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큰 수술이 필요하게 되어 환자에게 부담이 됩니다.
[그림4] 장골 골수줄기세포 채취
- 전신 마취하에 수술을 진행하여야 함.
골수유래 줄기세포의 성능과 가장 흡사한 성체의 줄기세포가 구강내 줄기세포 중 치수유래줄기세포 (Dental pulp stem cell, DPSC)라는 것이 최근에 연구를 통해 밝혀졌고, 치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공학으로 당뇨 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 치료제 개발 (BMSC, DPSC)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골수유래 줄기세포에 PDX-1, NGN-3, neuro-3 과 같은 유전물질을 처치하면 골수유래 줄기세포가 랑게르한스섬으로 분화함이 밝혀졌고, 이렇게 분화가 완료된 랑게르한스섬은 기존의 랑게르한스섬과 기능적, 형태적으로 동일함을 실험실내에서 여러 분석기법으로 검증했습니다.
추가로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당뇨가 유발된 쥐 모델에 투여하고, 위의 랑게르한스섬 유도 유전물질을 투여한 결과, 투여된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이 조절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그림5]
[그림5] A: 당뇨 유도된 쥐의 혈중 인슐린 분비량 / B: 당뇨 유도된 쥐에 골수유래줄기세포 + 랑게르한스섬 유도 물질 투여후 혈중 인슐린 분비량
현재, 골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 치료제 개발 연구는 전세계에서 다양한 연구팀이 진행하고 있으며, 주로 투여 경로, 투여 횟수, 용량 등을 달리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골수유래 줄기세포는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통해 장골의 골수를 채취해야 합니다. 이는 앞서 설명처럼 수술적 처치라 환자에게 시간, 비용과 후유증 등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하고, 따라서 반복적인 채취가 불가능해 채취량이 한정적이라는 단점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점은 치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극복이 가능합니다. 사랑니 발치나 교정발치 등을 통해 치수를 채취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시간, 비용, 술 후 부작용 등에 대한 부담감이 극히 경미합니다. 따라서, 이미 다양한 연구진들이 치수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입니다.
요약해보기
당뇨는 현재 치료법이 발견되지 않은 불치병으로, 근원적인 해결책은 췌장 또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동종이식이나 돼지등을 이용한 이종이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면역 거부반응, 큰 수술을 해야 되는 시간 비용 등의 부담감 등의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줄기세포 분야의 발전을 토대로, 당뇨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에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방식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것은 성체에서 채취가 가능하며 전분화능을 가진 골수유래 줄기세포입니다. 하지만, 골수유래 줄기세포도 또한 전신마취를 통한 채취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합니다.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연구 결과 골수유래 줄기세포와 가장 비슷한 분화능과 그 외 성질을 지닌 성체 줄기세포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치아를 발치함으로써 획득 가능해 상대적으로 채취량, 비용 등 다양한 기존의 치료제들이 가지는 단점을 한 번에 해결 할 수 있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당뇨는 전 세계 인구의 10분에 1 정도가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만약 이러한 당뇨를 위한 치료에 치수유래 줄기세포가 이용될 수 있다면, 당뇨병의 분야까지 치과의사가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어 치과의료 분야에서도 환자와 치과의료 분야 모두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그 귀추가 매우 주목되고 있습니다.
REFERENCE
[그림1] The pathogenesis and pathophysiology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Ozougwu, J. C. 1* , Obimba, K. C.2 , Belonwu, C. D.3 , and Unakalamba, C. B.4
Xenotransplantation of layer-by-layer encapsulated non-human primate islets with a specified immunosuppressive drug protocol / Muhammad R. Haque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58 (2017) 10-21
Postnatal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DPSCs) in vitro and in vivo
S Gronthos, M Mankani, J Brahim… - Proceedings of the …, 2000 - National Acad Sciences
Identification of a Common Gene Expression Signature Associated with Immature Clonal Mesenchymal Cell Populations Derived from Bone Marrow and Dental Tissues
Stem cells as a potential therapy for diabetes mellitus: a call-to-action in Latin America
Mairim Alexandra Solis
[그림5] Mesenchymal Stem Cells Cooperate with Bone Marrow Cells in
Therapy of Diabetes
VERONIKA S. URBAN,